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후두 용종 혹

카테고리 없음

by 후두 전문가 2025. 7. 14. 07:57

본문

후두 용종 목이 자주 쉬거나, 말을 할수록 목소리가 갈라지고 피로감이 느껴진다면 단순한 피로나 일시적인 후두염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반복되거나 지속된다면 후두에 생긴 '용종(Polyp)'일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후두 용종은 성대에 생기는 작은 혹으로, 주로 발성 습관이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며 음성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처음에는 불편함이 적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목소리 변화, 발성 불편감, 심지어 수술이 필요한 상태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후두 용종 기본정보

후두 용종 주로 성대 점막에 생기는 작은 종양성 병변으로, 과도한 발성, 염증, 자극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보통 한쪽 성대에 단독으로 생기며, 성대의 진동을 방해해 쉰 목소리, 목소리 갈라짐, 발성 장애 등을 유발합니다.

정의 성대 점막 아래 출혈·부종 등으로 인한 덩어리성 병변
위치 대부분 성대 앞 1/3~중간 지점 부위
발생 형태 단측성, 구형 또는 편평한 덩어리
크기 수 mm ~ 1cm 이상 다양
양성 여부 대부분 양성이지만 상태에 따라 조직검사 필요

성대결절과 혼동되기 쉬우며, 병변의 위치와 발병 형태, 경과 속도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집니다.


후두 용종 원인

후두 용종 갑자기 생기기보다는 반복되는 발성 습관, 자극, 염증 등에 의해 점막이 손상되면서 점차 발생합니다.

과도한 발성 소리 지르기, 고음 반복, 성대 무리 사용
성대 외상 갑작스러운 고성 발성으로 성대 내 미세 출혈
만성 염증 후두염, 인후염 등으로 점막의 반복 자극
흡연 점막 자극과 혈류장애 유발
위산 역류 성대와 후두 점막에 지속적인 산 자극
환경적 자극 미세먼지, 건조한 공기, 화학물질 흡입 등
알레르기 점막 부종과 점액 과다 분비 촉진

가장 흔한 원인은 ‘발성 과다’로, 특히 교사, 성악가, 방송인, 콜센터 직원 등 음성 직업군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후두 용종 변화와 증상

후두 용종 처음에는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지만, 병변이 커지거나 성대의 진동을 방해하면서 서서히 음성 변화가 나타납니다.

쉰 목소리 가장 흔한 증상, 성대 접촉 불완전으로 인한 공명 불량 2주 이상 지속 시 진료 필요
목소리 떨림 성대 진동의 비대칭 → 불안정한 음질 발생 고음에서 두드러짐
목소리 피로 말을 오래하면 목이 뻐근하고 음성이 점점 약해짐 음성 휴식 필요
음역대 변화 고음 불가 또는 저음 유지 어려움 성악가나 방송인에게 치명적
발성 통증 성대 점막 자극 시 통증 유발 심한 경우 목소리 내기도 어려움
이물감 목 안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 헛기침 반복 유도 가능
간헐적 기침 성대 자극에 의한 반사 기침 알레르기와 감별 필요

이러한 증상들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후두 내시경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정확한 감별의 중요성

후두 용종은 다른 성대 질환들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므로,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합니다.

성대결절 양쪽 성대에 대칭적으로 발생, 단단한 결절 용종은 단측성이고 부드러운 조직
성대낭종 점액이 막혀 생긴 낭 형태 내시경에서 투명한 모양 확인 가능
후두염 감염으로 인한 점막 염증 급성 증상과 발열 동반
후두암 악성 종양, 진행 시 통증과 출혈 조직검사 필요
역류성 후두염 위산으로 인한 만성 자극 소화기 증상 동반 가능
성대마비 신경손상으로 성대 움직임 장애 움직임 비대칭 내시경 소견

용종은 ‘한쪽 성대에만, 동그랗게, 부드럽게’ 생기는 경향이 강하며, 점막 아래 출혈이나 부종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검사명

후두 용종은 외래에서 시행하는 후두 내시경 검사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 크기, 진동 방해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후두 내시경 코나 입으로 삽입한 카메라로 성대 관찰 실시간 병변 위치 확인 가능
스트로보스코피 성대 진동을 슬로우 모션 분석 음성 기능 이상 여부 평가
음성 분석 검사 주파수, 강도, 음성 피로도 분석 치료 전후 비교 용이
조직검사 종양 감별 시 시행 악성 여부 확인 필요 시
경부 초음파 외부 연골 구조와 갑상선 병변 확인 병변 확장 여부 확인 가능

일반적으로 내시경만으로도 충분한 진단이 가능하지만, 암 의심이나 재발성 용종은 조직검사가 권장됩니다.


다양한 치료법

후두 용종은 크기와 증상에 따라 보존적 치료부터 수술적 제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음성 휴식 발성을 최소화하여 성대 자연 회복 유도 초기, 크기 작고 증상 경미 시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항염제, 점액용해제 등 부종 완화, 염증 억제 목적
음성 치료 발성 습관 교정, 발성 재활 훈련 재발 방지 및 수술 후 회복
수술 치료 (Microlaryngoscopic surgery) 현미경 하 미세 수술로 용종 제거 크기 큼, 발성장애 심함, 약물 반응 없음
레이저 수술 레이저를 이용한 최소침습 제거 출혈 적고 회복 빠름
조직검사 동반 수술 병변이 비정형적일 경우 후두암 감별 필요 시 시행

수술은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하 12일 입원이 필요하며, 수술 후 음성 회복에는 약 23주가 소요됩니다.


수술 후 관리

후두 용종은 치료보다 재발을 방지하는 사후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특히 성대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생활 습관이 핵심입니다.

절대 음성 휴식 수술 후 최소 5~7일 침묵 유지
수분 섭취 점막 보습으로 회복 촉진
가습기 사용 실내 습도 50~60% 유지
금연/금주 점막 회복 방해 요소 차단
부드러운 음식 섭취 뜨거운 음식,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말할 때 복식호흡 목소리 압박 줄이기
정기 내원 및 음성 치료 재발 방지 및 회복 상태 점검
무리한 발성 피하기 고음, 장시간 말하기 자제
수분 충분히 섭취 하루 1.5~2L 권장
흡연/음주 자제 점막 자극 원인 제거
목소리 피로 시 쉬기 쉰 목소리는 '경고 신호'로 인식
스트레스 관리 긴장도 완화 → 근육 긴장 방지
정기 검진 음성 직업군은 정기 후두 내시경 권장

특히 교사, 강사, 가수, 상담원 등 목소리를 많이 쓰는 사람일수록 주기적인 검진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후두 용종 생각보다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초기에는 잘 느껴지지 않고 단순한 목 피로로 오해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작은 혹 하나가 우리의 목소리를 변화시키고, 발성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며, 일상적인 대화조차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쉰 목소리가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으세요.” 후두 용종은 조기에 발견하면 간단한 치료로 회복 가능하며,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도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목소리는 우리의 또 다른 얼굴입니다. 더 늦기 전에, 목의 경고 신호에 귀를 기울이고 건강한 발성과 후두 점막을 위해 오늘부터 작은 실천을 시작해보세요. 후두 용종, 그냥 두지 말고 제대로 알고 관리하세요. 아름답고 건강한 목소리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