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후두 근육 중요성

카테고리 없음

by 후두 전문가 2025. 7. 14. 06:51

본문

후두 근육 우리가 말을 할 때, 노래를 부를 때, 혹은 숨을 쉴 때 목 안에서 정교하게 작동하는 작은 기관이 있습니다. 바로 후두(Larynx)입니다. 그런데 이 후두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후두 근육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후두는 단순한 연골 덩어리가 아니라, 여러 개의 미세한 근육들이 서로 연결되어 작동하면서 발성과 호흡, 삼킴 기능을 조절합니다. 이 근육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호흡이 불안정해지고, 음식을 삼키는 데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후두 근육 분류

후두 근육 후두를 구성하는 연골들을 움직이게 하여 성대를 조절하고, 공기의 흐름을 관리하며, 발성 기능을 수행하는 근육입니다.
후두 근육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외재성 근육 후두 바깥에서 후두를 고정하고 위치 조절을 도와주는 근육
내재성 근육 후두 내부에서 성대 조절과 발성에 직접 관여하는 근육

이 중 내재성 근육은 말 그대로 발성과 직결되는 핵심 근육들로, 후두의 정밀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후두 근육 내재성 종류

후두 근육 내재성 후두 근육은 후두 내부에서 작동하며, 성대의 위치, 길이, 장력, 개폐 상태를 정교하게 조절합니다.

갑상피열근 (Thyroarytenoid) 성대 두께 및 긴장도 조절 저음 발성 시 활성화
후윤상피열근 (Posterior cricoarytenoid) 성대 벌리기 (개방) 유일한 성대 외전 근육
외윤상피열근 (Lateral cricoarytenoid) 성대 닫기 (내전) 발성 시 음압 생성
횡피열근 (Transverse arytenoid) 양쪽 성대 연결 및 밀착 완전한 성대 접촉 유도
사피열근 (Oblique arytenoid) 성대 후방 조절 및 후두개 조절 삼킴 반사에 기여
윤상갑상근 (Cricothyroid) 성대 길이 연장 및 긴장 고음 발성 시 활성화

이 근육들이 상호 협력하여 섬세한 발성, 안정된 호흡, 안전한 삼킴을 실현합니다.


외재성 역할

외재성 근육은 후두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끌어내리면서 삼킴, 호흡, 발성 시 후두의 위치를 조절합니다.

설골상근군 (Suprahyoid muscles) 후두를 위로 끌어올림 후두 상승 → 삼킴 기능 향상
설골하근군 (Infrahyoid muscles) 후두를 아래로 끌어내림 호흡 시 기도 확보에 도움
흉골설골근, 갑상설골근 등 후두의 위치 안정화 안정된 발성에 기여

외재성 근육은 특히 삼킴과 관련이 깊으며, 후두 전체의 유연성과 안정성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후두 근육 이상 시 나타나는 증상

후두 근육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증상들은 가벼운 목 피로에서부터 발성 불능, 호흡곤란, 삼킴 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어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목소리가 자주 쉰다 성대가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떨림이 불안정
말할수록 목에 피로감이 느껴진다 근육 긴장도 불균형
고음 발성이 힘들다 윤상갑상근 기능 저하 가능성
삼킬 때 이물감이 있다 사피열근 또는 후두개 조절근 약화
말할 때 목이 조이는 듯하다 외재성 근육 과긴장 가능성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가 난다 성대 외전 장애 (후윤상피열근 이상)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거나 악화된다면 후두 근육의 기능 이상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이비인후과 또는 음성 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관련 주요 질환

후두 근육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정 질환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성대 마비 (Vocal cord paralysis) 성대를 움직이는 근육 마비 발성 장애, 호흡 곤란 수술, 재활치료
근긴장성 발성장애 성대 내전/외전 과긴장 쉰 목소리, 피로, 발성 고통 음성 치료, 보톡스 주사
근육 긴장 이상증 (Spasmodic dysphonia) 후두 근육 경련성 움직임 끊기는 말소리 보톡스 치료, 음성 재활
후두근육 피로증 장시간 발성으로 인한 근육 피로 목 통증, 발성 지속 불가 휴식, 스트레칭, 음성관리
외상성 손상 교통사고, 수술 후 손상 등 후두 통증, 발성 불가 외과적 치료, 물리치료

후두 근육 질환은 대부분 음성 이상을 동반하며, 조기 치료 시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기능 검사와 진단

후두 근육의 기능은 겉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정밀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후두 내시경 성대 및 근육 움직임 실시간 관찰 이상 유무 및 대칭성 확인
성대 스트로보스코피 성대 진동 정밀 분석 진동 파형 분석, 발성 기능 평가
음성 분석 검사 소리의 높낮이, 강도, 떨림 측정 근육 긴장도 및 피로 확인
근전도 검사 (EMG) 성대 주변 근육 전기 신호 측정 마비 여부 및 근육 반응 확인
영상 촬영 (CT/MRI) 구조적 이상 확인 종양, 압박 병변 감별

근전도 검사와 스트로보스코피는 특히 기능성 문제 진단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강화 및 관리방법

후두 근육도 운동과 휴식을 통해 단련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성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은 정기적인 근육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스트로 베이징 운동 (straw phonation) 빨대를 이용해 공기 저항 줄이며 발성 훈련
복식호흡 연습 복근 이용해 후두 부담 줄이기
허밍(humming) 낮은 진동으로 성대 이완 유도
후두 스트레칭 목 돌리기, 턱 당기기, 설골 상하 움직임
말 줄이기 일정 시간 침묵 유지로 회복 유도
수분 섭취 성대와 근육 점막 보습, 피로 예방
카페인/알코올 제한 탈수 방지, 자극 줄이기
음성 치료 병행 전문가와 함께하는 발성 훈련

특히 하루 1~2회 허밍과 복식호흡을 꾸준히 하면 후두 근육 긴장 완화와 안정된 발성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후두 근육 후두 근육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목소리와 호흡, 삼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작고 강한 근육’입니다. 이 근육들이 조화를 이루며 움직이기 때문에 우리는 말하고 숨쉬고 노래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잘못된 발성 습관, 스트레스, 외상, 무리한 사용은 이 정교한 시스템을 무너뜨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음성 질환과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두 근육을 관리한다는 건 곧 목소리와 삶의 질을 지키는 일입니다. 지금 목이 뻐근하고, 말할 때 피로하거나, 발성이 힘들다면
후두 근육이 보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고, 말하는 양을 조절하며,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훈련을 통해 건강한 후두 근육과 아름다운 목소리를 지켜보세요. 오늘도 내 목소리를 위해, 작은 근육들에게 휴식과 감사의 시간을 주세요.